情報

[스크랩] 이천-충주~문경선

강남한 2014. 4. 24. 15:57

이천-충주~문경선


▶노선안내

미래철도DB 노선이름

이천~충주~문경선

사업상황

  설계

사업성격

  신설

영업기관

한국철도공사

건설기관

한국철도시설공단

사업구간(역)

  (성남~여주선과 직결)~   부발[부발읍 가산리]
~111역[여주군 가남면 대신리]
~112역[장호원읍 장호원리 및  음성군 감곡면 왕장리 경계]
~221역[충주시 앙성면 돈산리]
~222역[신호장, 충주시 금가면 하담리]
~현 충주역
~311역[충주시 살미면 세성리]
~312역[충주시 수안보면 안보리]
~313역[괴산군 연풍면 원풍리]
~314역[문경시 문경읍 마원리]
~문경역~(문경선 직결)

노선연장

94.307km

노선규격

전기방식

  교류 25000V

신호방식

  -

배선

복선 노반 단선 철도

차량

  -

개통시기

  • 이천-충주: 2018년
  • 충주-문경: 2021년

관련노선

직결운행:  제2공항철도(인천공항-인천), 수인선(인천~월곶), 월곶-판교선(1)(월곶-시흥시청), 신안산선(시흥시청~KTX광명역), 월곶-판교선(2)(광명역-판교), 성남-여주선(판교-여주), 이천-충주~문경선, 문경선(문경-점촌) 전철화, 경북선 복선전철화(점촌-김천), 김천-진주-거제 복선전철

참고사항

  • 이천-감곡 구간과 감곡-충주 구간에서 노선 논란이 많았음

 

■진행상황

1999. 6

" 21세기 국가 철도망 구축 기본계획" 반영

  1999. 12

국가기간교통망 계획(1999/12, 건설교통부)에 후반기 계획(2010~2019년)으로 포함

  2001년 8월

  제3차 경상북도 종합계획(2000∼2020) 에 포함

  2002.3~7

  • 여주-충주 구간 기획예산처  예비타당성 조사
  • 복선 B/C=0.63
  • 단선 B/C=1.02

2002/12

2002년 하반기 예비타당성조사 사업 선정 (충주-문경 구간)

2003/9/15

  • 충주-문경 구간 기획예산처 예비타당성조사 '경제성 없음' 판정   B/C=0.96
  • 그러나 여주-충주선 (B/C=1.02) 연계관계로 추진

2004/9

기본계획 수립 용역비 2004예산안에 반영(국회제출예정)

2005.1.7

충주상공회의소, 충주시의회, 국회의원 이시종 > 중부내륙철도 정책세미나

2005.3

건설교통부 > 기본계획 수립 연 구용역 입찰 공고
( 타당성 조사와 기본계획 수립, 사전 환경 성 검토, 문화재 지표조사 )

2005.06~2006.12

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 용역

2006. 11.28

건설교통부 > 이천 부발읍-장호원 감곡면 간 21km 시종점 포함 2개역, 기본계획 관보 고시
감곡(장호원)~문경 구간은 충주시와의 노선협의 지연으로 미고시

2006.12

충주시 > 노선설문조사

  • 제1안 감곡-노은(문성)-주덕(화곡)-이류(만정)-살미(세성)-수안보(안보)
  • 제2안 감곡-앙성(돈산)-금가(사암)-충주역-살미(세성)-수안보(안보)
  • 제3안 감곡-앙성(돈산)-이류(본리)-이류(만정)-살미(세성)-수안보(안보)

조사 결과 2안이 시민들의 지지를 받아, 충주시 공식안으로 채택

2007. 8

노반기본설계 착수

2009.3

감곡(장호원)~문경 구간 노선 확정

2009.3~4 기본계획 고시 위한 관계기관 협의

2009.5.19

국토해양부 > 이천-충주-문경 철도 기본계획고시

2010.12.21 총사업비 변경
2010.12.30 노반 실시설계 발주

2011.1

국토해양부 > 국가기간교통망계획 2차 수정계획에 포함

2011.3.21 노반 실시설계 계약 및 착수
2012.9 기획예산처 > 중부내륙선철도 복선화 사업 예비타당성 재조사 통과 못함
B/C=0.293~285,  AHP=0.401
2014.1.10 이천-충주 철도건설사업: 전략환경영향평가 초안 공청회 (여주시 가남읍 읍사무소)
2014년 8월 이천-충주: 착공

 

미래철도DB 해설

  •   건설교통부의 국가기간교통망 계획상의 한 노선이다.
  • 이천-충주선은 현재 추진중인 성남-여주선의 연장선 개념이며, 향후 충주를 지나 문경선의 문경까지 연장된다.
  • 결과적으로 인천공항~고속철도 광명역(제2공항철도< 인천시,건교부> ), 고속철도 광명역~판교역(남부역-성남여주선< 건교부> ), 판교역-이천(시설공단, 건교부), 이천-충주선(충북도,건교부), 충주-문경선(경북도,건교부), 문경-점촌(기존 문경선), 점촌-김천(기존 경북선), 김천-진주~삼천포의 국내 제3 기간 철도축인 " 중부내륙선" 의 일부가 된다.
  • 특히 이 사업을 통해 충주에서 기존 충북선과 " 중부내륙선" 이 십자 형태로 교차함으로써, 충주는 중요 철도요충지로 성장할 수 있게 된다.
  • 현 운행중단 상태인 문경선이 충주-문경선과 연결되면서 부활하는 것도 주목할 점이다.

(update : 2014/1/3)


사진모음

대형노선도

노선안내도 (저작권 : 국토해양부)

이천-충주-문경선

노선안내도 (저작권 : 한국철도시설공단)

 

중부내륙선(건설교통부)

  노선안내도 (저작권: 건설교통부)

중부내륙선(건설교통부)

  노선안내도 (저작권: 건설교통부)

중부내륙선(건설교통부)

노선안내도 (저작권: 국토해양부)

중부내륙선

출처 : 윈윈클럽/도시계획정보카페(경매/공매/토지보상)
글쓴이 : 초원마루 원글보기
메모 :